본문 바로가기

Cisco

Cisco 1일차

네트워크란?

Net(망) + Work(일하다) 쉽게 말해서 망이 모여서 일을 하는 것, Terminal과 Terminal을 연결하는 것,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고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것을 네트워크라고 한다. 네트워크가 필요한 이유로는 크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구성범위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분류할수가 있는데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로 분류할 수가 있다.

 

LAN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Router 이전에 네트워크의 집합체이고 Router를 벗어나면 WAN으로 보면 된다. 한정된 좁은 지역에 구성된 네트워크이고 예로는 PC방, 사무실, 연구소, 강의실 등이 있다. LAN 케이블 전용 선이 있는데 Copper라는 media를 이용한다. 특징으로 초기 투자 비용이 높지만 유지 보수비는 낮다는 특징이 있고 구성 장비로는 Switch(Bridge), HUB 등이 있다.

Switch Hub : 연결(dedicate)의 개념, 응용계층 2계층에 속하고 장점으로는 여러대의 PC, Server을 물린다 하더라도 속도에 전혀 지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Dummy Hub : 공유(Shared)의 개념, 응용계층에 1계층에 속하고 단점으로 많은 PC가 물리고 동시에 사용할 경우 데이터 속도를 감소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WAN 광역 통신망 (Wide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이고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예로는 LAN과 LAN을 서로 연결하는 광역 네트워크이다. 특징으로 초기 투자 비용이 낮지만 유지 보수비가 LAN보다 높다. 구성 장비로는 Router가 있다.

Router :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이다. 상위 통신망과 하위 통신망 사이를 중계해 주는 기계라고도 할 수 있으며 OSI 7계층에 네트워크(L3) 계층에 속한다.

 

인터넷(INTERNET)

전세계의 수많은 LAN과 WAN들이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통신만의 집합체, 네트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연결된 네트워크간에는 서로 동일한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여기서 프로토콜(protocol)을 언어(규칙)로 비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통신을 하기 위한 언어 혹은 약속, 네트워크 상에는 많은 규칙이 존재하는데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는 같은 규칙을 사용해야 한다. 이때 규칙이 바로 Network protocol 이다. 즉, 통신 protocol이란 연결된 네트워크간에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규약, 서로간의 약속, 표준 규격이라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네트워크 protocol로 인터넷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TCP/IP 가 있다. 그 외에도 Apple Talk, IPX 등도 있지만 가장 성공한 것이 TCP/IP 이다.

 

○ LAN 구성 프로토콜 : Ethernet, Token Ring, FDDI, 무선

IEEE802 protocol 

.1 = MAC

.2 = LLC

.3 = Ethernet(Wire) : 

.4 = Token Bus

.5 = Token Ring

.11 = Ethernet(Wireless)

 ● 통신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1) 유니캐스트(Unicast) : 일 대 일 통신을 말하며 LAN 통신에서 송신자의 MAC과 수신자의 MAC 주소를 알고 있을 때 메세지를 전달한다. 수신 측이 한 곳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 즉, 정확한 특정 목적지의 주소 하나만 가지고 일 대 일로 전달하는 방식.

2)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송신자는 누군지 확실히 아나 수신자를 모르고 있을 때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서버에게 정보를 알려야 할 때,일 대 전체 전달 방식이고 불특정 다수에게 전부 정송하는 경우 사용한다. 동일 Network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게 보내는 통신(즉, Broadcast Domain 안의 모든 장비들에게 전송) ex) TV, Radio, 이장님 방송... 등이 있다.

3) 멀티캐스트 (Multicast) :  한번의 송신으로 메세지나 정보를 알고 있을 때 목표한 여러 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일 대 그룹 전달 방식이고 정해진 특정 그룹으로 전송하는 경우, 특정 다수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ex) 케이블 TV, 인터넷 방송... 등이 있다.

 

○ WAN 구성 프로토콜 : SLIP, HDLC, PPP, Frame-Relay, X.25, ATM.....

(WAN 서비스 : 전용회선, PSTN, ISDN, ATM, Frame-Relay, X.25, MPLS....)

-> 통신을 하는데 있어 약속 사항은 전부 통신 protocol이다.(논리적, 물리적인 부분을 모두 포함)

 

네트워크 주소 체계

1) MAC address : 물리적 주소

ex) 00-19-D1-F0-09-FF

00:19:D1:F0:09:FF

0019.D1F0.09FF

 

2) IP address : 논리적 주소

ex) 19.168.21.1

OSI 7계층

1계층 - 물리계층(Physical Layer) : NIC, UTP

2 계층 - 링크계층(DataLink Layer) : Switch, Eternet, HDLC, Frame Relay

3 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Router, IP, CMP, IGMP, ARP, RARP, L3 Switch

4 계층 - 전송계층(Transport Layer) : TCP, UDP

5 계층 - 섹션계층(Session Layer) : FTP, SSH, Telnet HTTP, SMTP, POP3, IMAP DHCP, TFTP, SNMP, DNS

6 계층 - 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 : FTP, SSH, Telnet HTTP, SMTP, POP3, IMAP DHCP, TFTP, SNMP, DNS

7 계층 -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 FTP, SSH, Telnet HTTP, SMTP, POP3, IMAP DHCP, TFTP, SNMP, DNS

 

 

 

 

 

포스팅에 도움을 준 사이트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nav=2&m_temp1=648&id=1283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4일차  (0) 2023.09.13
Cisco2 2일차  (0) 2023.09.10
Cisco2 1일차  (0) 2023.09.09
Cisco 3일차  (0) 2023.09.04
Cisco 2일차  (0) 2023.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