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Cisco2 2일차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은 자율 시스템 내의 라우팅 데이터를 교환할 목적으로 라우터가 사용한다. 최대 홉수는 255이며 기본값은 100이다. 라우팅 업데이트는 90초마다 브로드캐스트된다. 거리와 방향을 이용해 최적의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로, Hop Count 제한이 없어 RIP보다는 큰 네트워크에 적용이 가능하다. 5가지 기준의 경로를 선택하는데 다음과 같다. 1)대역폭,속도(Bandwidth) 2)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Delay) 3)신뢰성,패킷을 보낼 때 생기는 Error 수치(Reliability) 4)Destination 까지의 경로에 걸리는 부하 수치(Load) 5)경로의 최대 전송 Unit의 크기(MTU(Maximum Transmission Unit))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하는 프로토콜중 하나이다. 네트워크 구성상 계층은 없고 평면적이다. RIP에서 사용하는 Metric을 Hop Count(홉수)라고 한다. 어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 때 홉수는 0이며, RIP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최대의 홉수는 15이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Link State을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로 네트워크(AS)를 'Area"라는 작은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DR과 BDR을 지정하여 이들에게만 Link State를 전달하며, 정보를 전달받은 DR은 해당 정보를 모두 관리하며 Link State를 항상 일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DR과 BDR은 Priority가 높은 순으로 결정, Default는 1이며 같을 경우 Router ID가 높은 것으로 결정)

DR(Designated Router) : Area 안에서의 Master Rouer

BDR(Backup DR) : DR 장애 발생 시, DR 역할 수행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다른 프로토콜에서 제공되지 않는 많은 기능을 사용하여 IGRP를 개선한 버전이다.  라우터 내 대역폭 및 처리 능력의 이용뿐 아니라, 토폴로지가 변경된 뒤에 일어나는 불안정한 라우팅을 최소화하는데 최적화된 고급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스태틱] - [목적지 주소] - [매트릭]- [인터페이스 주소] 

 

Static Routing

[2023. 09. 10]

[DHCP]

<R1>
Router(config)#ip dhcp excluded-address 192.168.10.1

Router(config)#ip dhcp pool cisco
Router(dhcp-config)#network 192.168.10.0 255.255.255.0
Router(dhcp-config)#default-router 192.168.10.1
------------------------------------------------------------------

Router(config-if)#ip helper-address 192.168.30.1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5일차  (0) 2023.09.16
Cisco 4일차  (0) 2023.09.13
Cisco2 1일차  (0) 2023.09.09
Cisco 3일차  (0) 2023.09.04
Cisco 2일차  (0) 2023.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