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네트워크 1] 데이터 통신 개요

1. 네트워크 기초 용어

 

시스템: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예) 컴퓨터, 자동차, 커피, 자판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운영체제, 프로세스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

예) RS-232C, USB

 

전송매체: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

예) UTP 케이블

 

프로토콜: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의 임의의 통신 규칙 (HTTP)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집합을 통칭

 

인터넷

- 전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 공통 기능 : IP(Internet Protocol)

  -> mac address

 

표준화: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기 위한 통일된 연동 형식

 

2. 시스템의 구분

노드: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용어

 

호스트: 컴퓨터 기능이 있는 시스템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호스트 1 - 클라이언트

호스트 2 - 서버

 

호스트 2 - 클라이언트

호스트 3 - 서버 

이처럼 기준에 따라 서버가 될수도 있지만 클라이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3. 계층 모델

 

인터넷 계층 구조

 - 네트워크 계층(IP 프로토콜)

 - 전송 계층(TCP, UDP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리피터: 물리 계층 지원 (신호 증폭)

 

브리지: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지원

 

라우터: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

 

 

데이터 단위

APDU: 응용 계층의 데이터 단위

PPDU: 표현 계층의 데이터 단위

SPDU: 세션 계층의 데이터 단위


1주차 1교시 정리

 

데이터 통신 개요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로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전송 매체, 프로토콜, 네트워크, 인터넷, 표준화 같 은 용어로 표현하는 구성요소를 갖는다. 1) 네트워크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2) OSI 7계층은 물리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인터넷은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고, 전송 계층에서는 TCP와 UDP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4) 인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 호스트에는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이라는 두 개의 구분자가 있고, DNS를 이용해 이들을 매핑한다. 5) 호스트 주소에는 호스트 이름, IP주소, MAC 주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