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리눅스 5회차

01. 링크 종류

#ln [옵션] [원본파일] [링크파일]

 

1) 심볼릭 링크

#ln -s file1 file7

- 링크 수가 증가하지 않음

- i - node 번호가 다름

- 원본파일이 존재해야 한다. 원본파일이 사라지면 대체파일 내용도 사라진다.

 > 허가권이 모든 사용자가 읽고, 쓰고, 실행 권한이 부여됨.

 

2) 하드 링크

#ln file1 file7

 - 링크 수가 증가함.

 - i - node 번호가 같음.

 - 원본파일이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3) 심볼링 링크와 하드 링크의 공통점

 > 원 파일이나 링크 파일 내용 동시 동기화.

 

0. 편의성

===========================================================================

 

[사용자 관리]

 

로그인쉘 : ctrl + alt + F2

커맨드화면 : ctrl + alt + F1

 

01. 사용자 생성

#useradd [옵션] [생성할 계정명]

 

#useradd pse

 

> 관련 파일/디렉터리

 - /etc/passwd <- 사용자 정보

- /etc/group <- 그룹 정보

- /etc/shadow <- 암호화 비밀번호/비밀번호 정보 저장

- /home/pse <- 일반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 생성

- /var/mail/pse <- 사용자 메일 박스

 

/etc/skel/* <- 사용자 환경 설정(셀) 파일

 

02. 비밀번호 변경

#passwd [비밀번호]

> [비밀번호]

 

03. 계정 생성 시 참조 파일

> /etc/login.defs

 

04. 사용자 정보 변경

#usermod [옵션] [변경할 계정명]

 

<옵션>

-l(소문자 엘): 계정명 변경

-u : UID 변경

-g : GID 변경

-c : 코멘트 변경

-d  : 홈디렉터리 변경

-s : 사용자 셀 변경

 

05. 패스워드 정보 변경

#chage [옵션] [설정 값] [변경할 계정명]

 

<옵션>

-l : 사용자 패스워드 정보

-m : 최소 변경일

-M : 최대 유효기간

-W : 만료 경고일

-I : 비활성화 기간

-E  : 계정 만료일

 

06. 그룹 생성

> 디폴트 그룹, 일반 그룹

 

#groupadd [생성할 그룹명]

 

#groupadd korea 

 

07. 그룹 삭제

#groupdel [삭제할 그룹명]

 

08. 그룹에 사용자 추가/삭제

#gpasswd [옵션] [삭제할 사용자명]

 

#gpasswd -a [추가할 사용자명] [그룹명]

#gpasswd -a user1 korea1

----------------------------------------------------------------

 

#gpasswd -d user1 korea1

 

#usermod -G [그룹명] [사용자명]

#usermod -G korea1 user

 

> user2 사용자를 여러 그룹에 추가하기

#usermod -G user1,korea1,korea3 user2

 

09. 사용자 일시 사용 중지

#passwd [옵션] [계정명]

 

<옵션>

-l(ock) : 잠김

-u(nlock) : 해제

 

#usermod -s /sbin/nologin korea1

#usermod -s /bin/false

===========================================================================

> vi 편집기만을 이용하여 계정 생성

> 계정명 : korea77

> 비밀번호 : 123456

 

 

> account(계정) = ID + Autorization

> IDentifier(식별자) = ID

 

> Identification(식별)

> Authentication(인증)

> Autorization(권한 부여/인가)

===========================================================================

  /etc/passwd <- 사용자 정보

- /etc/group <- 그룹 정보

- /etc/shadow <- 암호화 비밀번호/비밀번호 정보 저장

- /home/pse <- 일반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 생성

- /var/mail/pse <- 사용자 메일 박스

 

1) /etc/passwd <- 7개 필드

[계정] : [패스워드] : [UID] : [GID] : [Comment] : [사용자 홈디렉터리] : [사용자 셀]

 

text:x:1000:1000::/home/test:/bin/bash <---  중요!!!

 

2) /etc/group

[그룹명]:[GID]:[사용자1],[사용자2]........

 

test:x:1000:

 

3) /etc/shadow

[계정명]:[암호화된 패스워드]:[최초 패스워드 변경 후 지난 일 수]:[최소 변경일]:[최대 유효기간]:[경고일]:[비활성화 기간]:[계정 만료일]:[예비]:

 

test:$6$efgf$sdfefdsf$dfdsfdvsdffdafefdaf:203445:0:9999:7::::

 

$6 : Hash Type($6 : SHA-512, $5 : SHA-256, $2 : Blowfish, $1 : MD5)

$efgf : Salt(Random)

$sdfefdsf$dfdsfdvsdffdafefdaf : Salt + 123456 = 암호화 패스워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8회차  (0) 2023.11.19
리눅스 6회차  (0) 2023.11.14
리눅스2 1회차  (0) 2023.11.12
리눅스 8회차  (0) 2023.11.10
리눅스 7회차  (0) 2023.11.05